안전인증기관에서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 제조자의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를 종합 심사하여 안전성이 입증된 제품에 S마크 사용을 승인하는 임의안전인증제도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의 안전성능과 제조자의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가 안전인증 기준에 맞는지에 대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종합적으로 심사하는 제도(수입품 포함)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자가 해당 제품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는 것임을 확인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는 제도
[S마크]
[KCS]
[S마크]
[KCS]
[S마크]
①예비심사: 신청제품의 안전인증 대상여부 등을 심사
②서면심사: 제품설계도면, 강도계산서 등 기술문서의 안전인증기준 적합여부 심사
③기술능력 및 생산체계심사: 현장실사를 통해 사업장에서 갖추어야 할 품질관리체계 등의 적합여부 심사
④제품심사: 제품안전성능의 안전인증기준 적합여부
[KCS]
안전인증
①서면심사: 제품기술과 관련된 문서가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심사
②기술능력 및 생산체계심사: 안전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 보증하기 위하여 사업장에서 갖추어야 할 기술능력과 생산체계가 안전인증 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심사
③제품심사: 서면심사 내용과 일치하는지와 안전에 관한 성능이 안전 인증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심사
자율안전확인신고
[S마크]
①서면심사
②제품심사
③기술능력 및 생산체계심사: 12.5만원/제조사업장·제품
[KCS]
①서면심사 및 제품심사: 대상품에 따른 안전인증 종류별 수수료 + 출장비
②기술능력 및 생산체계심사: 12.5만원 + 출장비
[S마크]
안전인증제품 구매자에게 산업재해 예방시설 자금 융자 우선지원대상 선정
국내 공공기업, 대기업 등에 구매 추천
각종 매체를 통하여 인증제품 홍보
인증제품, 제품의 포장에 마크 표시, 광고
제조물책임(PL) 제도에 대응한 대책 수립 가능
최초진단
개별
제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진행 가능 여부 판단
형식별
제조공장에 방문하여 인증취득 가능여부를 판단, 보완 사항을 안내
진행
개별
기술문서 작성을 위한 자료 수집 및 보완
형식별
- 사내표준 제정과 제조·검사설비 관련 문서, 각종 기록 자료 구성
- 기초교육, 심사 대응 방법 등 인증 취득에 필요한 전반 교육
[S마크]
제조자
예비심사
공단
예비심사 결과 안내
제조자
신청서 접수
공단
서면심사
공단
확인심사
공단
안전인증서 교부
공단
제품심사
공단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
심사 (형식별에 한함)
[KCS] - 안전인증
제조자
신청서 접수
공단
서면심사
제조자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 심사
공단
확인심사
공단
안전인증서 교부
공단
제품심사
[KCS] - 자율안전확인신고
제조자
제품시험 및 성능 확인
제조자
자율안전확인 신고
공단
신고내용 검토 및 자율안전확인신고증명서 발급